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몰라서 모르는 돈이 되는 지식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몰라서 모르는 돈이 되는 지식

검색하기 폼
  • 분류 전체보기 (5)
  • 방명록

분류 전체보기 (5)
토스뱅크 모임통장 만드는 법

토스뱅크 모임통장 만드는 법 카카오뱅크가 제일 먼저 만든 모임통장을 토스뱅크도 만들었다는 사실을 이제야 알았습니다. 그래서 휴대폰으로 만드는 과정을 알려 드리겠습니다. 1. 토스뱅크 모임통장 만들기 토스 앱을 켜서 들어가면 아래에 "전체"를 클릭합니다. 그리고 아래로 내려보면 계좌 > 토스뱅크 모임통장 만들기가 있습니다. 클릭합니다. 2. 모임통장 이벤트 응모하기 토스는 현재 모임통장 만들기 이벤트를 하고 있습니다. 모임통장을 만들고 멤버를 초대하면 선택한 여행지를 보내주는 이벤트입니다. 일단 제주도를 골라봅니다. 제주도 외에도 뉴욕, 파리, 하와이, 도쿄, 방콕 등이 있습니다. 원하는 대로 마음껏 고르시면 됩니다. 원하는 도시를 고르고 "다음"을 클릭합니다. 당연히 이벤트는 무조건 당첨이 아닙니다. 원..

카테고리 없음 2023. 4. 7. 19:59
윈도우 11 작업 표시줄에 폴더 바로가기 고정하는 법

윈도우 11 작업 표시줄에 폴더 고정하는 법 윈도우에서 파일을 접근하는데 가장 편리한 곳이 바로 퀵런치(Quick Launch)라고 불리는 작업 표시줄입니다. 여기에 다양한 프로그램들의 바로가기가 있지만 저는 여기에 자주 사용하는 폴더의 바로가기를 고정해서 사용합니다. 그런데 그 전에는 도구모음으로 가능하던 작업이 윈도우 10과 윈도우 11에서는 불가능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방법을 찾다가 꼼수를 발견하였습니다. 그래서 지금은 기존의 도구모음처럼은 아니지만 별도의 런쳐 프로그램 없이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자 지금부터 꼼수를 따라해 볼까요? 고정하면 아래 화면처럼 "2023" 폴더가 작업 표시줄에 고정이 됩니다. 다만, 예전처럼 클릭하면 모든 파일 목록이 뜨는 것이 아니라 폴더 전체를 여는 것만 가능합니..

카테고리 없음 2023. 4. 7. 18:34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가입방법, 신청기간

1.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는 윤석열 대통령의 공약사항 중 하나로 10년 만기로 최대 1억원을 모을 수 있는 정책형 금융상품입니다. 예산심의 과정에서 5년 만기로 5천만원을 모으는 상품으로 변경되어 발표하였습니다. 만 19세에서 34세의 청년들이 개인소득 조건과 가구소득 조건을 충족하면 가입이 가능합니다. 정부는 대상 청년을 306만 명으로 추산하고 2023년 예산에 약 3,500억원의 예산을 편성하였습니다. 2. 청년도약계좌 요약 신청기간 : 2023년 6월 이후 가입대상 : 만 19세 ~ 만 34세 청년, 약 306만 명 가입조건 : 개인소득 6천만원 이하 & 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 상품내용 : 5년간 매월 40만~70만 납입 + 소득구간에 따라 납입액의 3~6% 정부 지원 예산편성 : 5년간..

카테고리 없음 2022. 11. 6. 18:47
안전속도 5030 시행 - 2021년 4월 17일부터

1. 안전속도 5030 정책 2. 안전속도 5030 정책의 기대효과 3. 안전속도 5030 단속 - 범칙금 및 과태료 부과 1. 안전속도 5030 정책 2021년 4월 17일부터 차량으로 인한 교통사고 발생을 줄이고, 보행자 등 교통약자를 보호하기 위해 안전속도 5030 정책이 전격 시행되었습니다. 도시지역 중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내의 모든 일반도로는 최고 속도를 시속 50킬로미터로 제한하고, 차도와 보도가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는 주택가와 도로, 그리고 어린이보호구역 등 보행자의 통행이 많은 이면도로는 시속 30킬로미터로 제한하는 교통정책입니다. 도시지역은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을 포함합니다. 도시지역 내의 일반도로 중에 소통확보가 필요한 경우에는 시속 60킬로미터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카테고리 없음 2021. 5. 12. 09:36
주소변경서비스 KT Moving + 우편물 주소변경

이사를 가게 되면 많은 것들이 바뀌게 됩니다. 교류하는 이웃, 생활환경, 아이들 학습환경까지 거의 모든 것이 변하게 되는데요. 이사를 마치고 나면 반드시 해줘야 하는 것 중에 하나가 바로 주소지 변경입니다. 주소변경은 크게 3가지를 해야 하는데요. 첫 번째는 주민센터에 가서 전입신고를 하는 것입니다. 두 번째는 금융기관 및 쇼핑몰 등에 등록된 주소를 바꾸는 거구요. 마지막으로 만약을 위해 우편물 주소변경을 하는 것입니다. 1. 주민등록 주소지 변경 : 전입신고 일단 이사를 마치면 해당 주민센터를 찾아서 새로 이사온 주소로 전입신고를 해야 합니다. 그렇게 해야 관공서 관련 소식, 공지사항 등을 문제없이 받아볼 수 있습니다. 2. 금융기관 및 쇼핑몰 등록 배송지 변경 그 다음으로는 은행, 카드회사, 보험회사..

카테고리 없음 2021. 4. 27. 16:14
이전 1 다음
이전 다음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